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는 독특한 문화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나이가 두 개라는 것입니다. 법적으로 표기하는 만 나이와 일상에서 부르는 나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나라에서는 공지를 할 때에도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법적인 만 나이만을 표기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변화되는 내용에 관한 몇 가지 질문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만 나이 계산 방법

     

     

    만 나이는 법령, 행정, 교육, 의료, 보험 등 모든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대한민국은 과거에는 세는 나이를 사용했습니다. 세는 나이는 태어난 순간부터 1세가 되는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을 경우

    계산방법 : 이번연도 – 출생연도 – 1 = 현재나이

    예) 2023 – 1991 – 1 = 31세

     

    📌 올해 생일

    계산방법 : 이번연도 – 출생연도 = 현재나이

    예) 2023 – 1991 = 32세

     

     

    만나이 통일

     

     

     

     

     

     

    초등학생 입학년

    초등학교 입학년수에 대해 궁금한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자녀의 나이는 모두 동일합니다. 만 6세가 되는 해의 다음 해 3월 1일에 입학하면 됩니다.

     

    만 나이가 아닌 현재 7살인 아이라면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됩니다.

     

     

     

    연금 수급 시기 변경

    연금 수급 가능한 나이가 변경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이 계실 겁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큰 변경은 없습니다. 연금 수급 가능한 나이는 원래 만 나이로 지정되어 있으며, 해당 부분에서는 변화가 없습니다.

     

     

     

    나이 호칭은 어떻게

    나라에서는 특별하게 존칭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제는 한국의 서열 문화의 엄격함으로 인해 애매해진 나이 차이도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마무리

    만나이 통일시행에 따른 나이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생일과 상관 없이 모두가 같은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할 수 있게 됩니다. 만나이 시행으로 인해 나이 계산에 대한 혼란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나이 통일

     

    반응형